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782

명품 핸드백 TC 코드 이야기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프랑스 여행 후 입국을 하는 미미 씨의 팔에 누가 봐도 새것인 가방이 걸려있습니다. 유명 모 브랜드의 가방이었는데요. 신고서에 쓰이지 않은 이 가방 때문인지 검사지정이 되어, 어디에서 핸드백을 구입했느냐는 세관직원의 질문을 받게 되었습니다. 사실 현지에서 구입한 것이지만 신고하지 않을 작정이었던 미미 씨는 그만,


“작년에 산 거예요!


거짓말을 하고 맙니다. 그러나 가방엔 흠집은커녕 금장부분엔 보호필름마저 제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세관직원은 가방을 양해를 구하고 가방 안쪽에서 TC 코드를 찾아냅니다. 코드는 이 가방이 올해 생산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코드가 올해인데요?"


미미 씨는 울며 겨자먹기로 시인하고 맙니다. 자진신고를 하지 않았으니 가산세도 내게 되겠죠?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이 브랜드 제품에는 TC 코드가 있습니다. TC 코드는 제품의 생산지와 제조년월을 알려주는 코드번호인데요. 진품이라도 90년대 이전 모델에는 TC 코드가 없기도 하고, 생산공장이 많은 등의 이유로 이 코드가 정품과 가품을 구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럼 이 TC 코드. 어떻게 읽는지 알아보겠습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2007년 이후로 영문 2자리는 생산국가, 숫자 2/4번째 칸은 생산년도, 1/3번째 칸은 생산된 주를 의미하는 코드가 붙었다고 해요.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국가 코드는 이러한데요. 이 외에는 생산국가가 없다고 하네요.

그럼 아까 제시했던 TC코드는 어떻게 풀어볼 수 있을까요?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프랑스에서 2014년 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미미 씨처럼 순간을 모면하기 위한 거짓말은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정말로 국내의 백화점이나 아울렛 등에서 구매한 것이라면 그것을 증빙하는 영수증을 제시하여 면세를 받으며 통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다가는 기본 세금에 가산세, 그리고 통고처분(벌금·과료·몰수 또는 추징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납부하도록 통고하는 행정행위)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숨기지 말고 자진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여행자 면세범위는 미화 $600 이하, 주류 $400 이하 1병, 향수 60ml, 담배 200개비죠? 자진신고 하면 15만 원의 한도 내에서 관세의 30%까지 세액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성실하게 신고하지 않았다가 적발이 되면 납부세액의 40% 또는 60%에 상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되는 등 불이익 처분을 받을 수 있답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저작자 표시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비영리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변경 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782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