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세관에서는 수입신고서, 수출신고서 등등 하루에도 많은 양의 종이기록물이 생겨납니다. 이런 종이기록물은 중요도에 따라 보존기관이 저마다 다 다른데요. 보존기간이 지난 경우 마땅히 폐기를 해야 해요. 그러면 그 산더미같은 폐지들은 어떻게 될까요? 궁금하지 않으세요? 그럼 팔로팔로미~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보존기간이 경과한 종이기록물은 1차적으로 현장 파쇄를 합니다. 으아아아~ 저 많은 걸 하나하나 파쇄하려면 얼마나 힘들까요? 왜 제 손에서 땀이 나죠? 스테이플러 심도 빼야할 것이고 인적사항 등 중요 정보가 들어있는 경우 꼼꼼히 처리해야 되기에 아주 손이 많이 가는 작업입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렇게 조각난 폐지는 지종별로 나뉘어 압축된 형태가 됩니다. 네모네모. 반듯반듯.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런 다음은 다 섞어서 쉐킷쉐킷 해줘야해요. 물 등으로 죽처럼 풀어지게 하여 그 안에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요. 또 잉크가 들어있기 때문에 탈묵이라고 해서 먹물을 빼는 과정을 거쳐줘야만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점을 뺀 종이는 다시 태어날 준비를 하게 된 것이지요.
이렇게 다시 원료 상태가 되면, 용도에 따라 재질과 강도 등을 결정하는 약품들을 넣어 우리 앞에 나타나게 됩니다. 종이 입장에서도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새 생명을 갖게 되는 길이 참 멀고 머네요.
우리나라 폐지 회수율은 2014년 기준 88.2%*입니다. 참고로 2013년에는 92.1%나 되었다고 하고요. 아주 높은 편이지요? 이렇게 회수율이 높은 이유는 우리 모두가 분류 배출을 철저히, 올바르게 잘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뿌듯뿌듯. 폐지가 재활용될 때 중요한 점은 아무래도 분류가 얼마나 잘 되어있는지라고 합니다. 집에서 분류배출할 때도 박스는 박스끼리, 코팅된 전단지는 전단지끼리, 신문지는 신문지끼리 잘 모아서 내놓으면 시간과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수치 참고-한국제지연합회 http://www.paper.or.kr/n_indu/indu_02.asp
기사 제공 : 대구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