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CODE에 따라 관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수출국에서는 관세율이 낮은 코드를 선호하고, 수입국에서는 관세율이 높은 코드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은 스마트워치를 무선통신기기로 본 반면, 인도, 터키, 태국 등은 시계라고 주장해 마찰이 발생한 일이 있었습니다. WTO의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무선통신기기에는 대부분의 국가가 0%의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지만, 시계에 대해서는 인도·터키·태국 등에서 4∼10%의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해외 세관과 우리나라 세관의 품목 분류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 간의 HS 분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때문에 자신이 수입하고자 하는 상품 혹은 수출하고자 하는 상품의 HS CODE를 조회하여 관세율을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드에 따라 관세 및 부가세 그리고 환급에 영향을 미치는 HS CODE, 어떻게 조회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HS CODE 조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S CODE를 가장 쉬운 검색 방법은 바로 관세법령정보 포털 3.0홈페이지(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를 통해 검색는 것입니다. 검색이 되지 않을 시 관세청 관세 고객지원센터(1577-8577)로 문의하시면 자세한 상담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헤어드라이어의 HS CODE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먼저 관세법령정보 포털 3.0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 다음 세계 HS 항목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검색창이 나오는데요, 검색창에 헤어드라이기를 검색해보겠습니다.
헤어드라이어의 HS CODE는 8515.31-0000라고 조회됩니다. 그리고 우측에는 한글, 영문으로 된 품목명과 기본세율이 8% 또한 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헤어드라이어라고 되어 있는 리스트 중, 가장 아래에 있는 항목을 클릭해보겠습니다.
상세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역시 HS CODE 및 기본세율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각 나라별 FTA 협정 관세율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가 바뀌며 법령이 변경되면서 코드번호 및 세율도 변경될 수 있으니 최신 세율을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현재 관세법령정보 포털 3.0홈페이지에서 HS CODE 조회 기능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외국의 관세율, 품목 분류 사례 등 각종 정보 또한 수록하고 있으니 다양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관세법령정보 포털 3.0홈페이지를 통한 가장 쉬운 HS CODE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하고 빠르게 HS CODE 조회하시고 착오 없는 품목 분류 및 수출입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작성 : 관세청 정책기자단 C-STAR 3기 박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