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주춤했던 해외직구수입이 2016년 증가세로 전환됐습니다. 2016년도 해외직구 수입은 1,739만 5천 건에 16억 3천만 불 규모로, 건수 10%, 금액 7%가 각각 증가했습니다.
해외직구가 상승세로 전환된 주요 요인은 ① 중국·유럽 등으로 직구시장 다변화, ② 국내물가 상승에 따른 합리적 소비, ③ 소비 성향 다양화등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65%) > 유럽(15%) > 중국(8%) > 일본(6%) > 홍콩(3%) 순인데요.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비중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2013년 75% → 2014∼2015년 73% → 2016년 65%)입니다.
반면, 유럽의 비중은 점차 확대(2013년 7% → 2014년 8% → 2015년 11% → 2016년 15%)되고 있고, 2015년 감소하던 중국의 비중도 2016년에는 증가(2013년 12% → 2014년 11% → 2015년 5% → 2016년 8%)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미국 중심의 직구시장이 유럽과 중국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5년 대비 건수기준으로 66%, 금액기준 72%가 증가했고, 유럽은 2015년 대비 건수기준 39%, 금액기준 49%가 증가하였습니다. 중국발 해외직구가 급증한 데는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보조 배터리 등 소형 전기용품과 완구류가 2015년 8만 4천 건에서 2016년에는 6배 이상 증가한 51만 4천 건 반입된 것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5년에 이어 지난해도 비타민제 등 건강식품(20%)이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 화장품(16%), 캔디·커피 등 기타식품(14%), 의류(12%), 신발(8%), 전자제품(7%) 순으로, 이들 품목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했습니다.
국내에서 구매하던 전자제품이 중국 기술력 발달 및 가격경쟁력의 영향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였고, 건강과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 변화로 건강식품과 화장품 반입이 증가한 이유입니다.
관세청과 한국소비자원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해외직구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피해사례 예방을 위해 20해외직구 피해예방 체크포인트20를 관세청(www.customs.go.kr)과 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crossborder.kca.go.kr)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소비자 권리구제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외직구물품의 신속하고 정확한 통관을 지원하는 한편, 마약류 및 국민안전 저해 불법물품 반입 차단을 위해 검사를 강화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