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두에 빌딩처럼 빼곡히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을 본 적이 있나요? 산처럼 쌓인 컨테이너들 속에는 산에 있는 나무들보다 더 많은 물건들이 있죠! 우리는 무역을 통해 작은 단추에서부터 커다란 자동차까지 그 종류와 크기가 실로 다양한 상품들을 세계 여러 나라들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무수히 많은 상품들은 어떤 체계를 통해 정리되고 분류되는 걸까요?
품목분류란 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각종 물품을 세계관세기구(WCO)가 정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에 의거하여 하나의 품목번호에 분류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의 상품에 하나의 번호만 부과되는 것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죠. 오늘은 전 세계의 수많은 물건들을 정리해주는 HS코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HS란,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자로, 우리말로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가 되겠습니다.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는 1988년 발표된 상품분류에 관한 국제협약입니다. 이는 관세, 무역통계,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든 다목적 상품분류제도입니다. 이 협약에 의해 물품에 부여된 숫자 코드를 HS코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2009년 1월 1일부터 개정된 HSK(관세, 통계통합품목분류표)를 적용하고 있어요.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HS)"는 호(heading)와 소호(sub-heading)그리고 이들에 관련된 코드번호, 부(section), 류(chapter)그리고 소호의 주(note)와 HS해석에 관한 통칙을 포함하는 품목분류표입니다. 너무 어렵고 복잡하다구요? 그렇지 않아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HS의 구성>출처 : http://blog.naver.com/chck1234/220473374763
먼저 ‘통칙’은 통칙1에서 통칙6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는 HS협약 주와 국내 주로 구성되며, 각 부, 류, 호의 분류범위 및 용어정의를 표시합니다. 주 역시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어요.
‘부’는 무역대상물품을 산업별, 기술제품으로 수평배열한 것이며, 제1부부터 21부까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1부는 산 동물 및 동물성 생산품이 이에 해당하고, 제2부는 식물성 생산품, 목재, 신발류, 예술품 등 부는 상품의 종류를 분류해놓은 것이죠.
부로 대분류를 하고 나면 중분류인 ‘류’로 넘어갑니다. 류는 제1류에서 97류까지 있으며 98~99류는 현재 유보중입니다. 왜일까요? 바로 미래의 새로운 생성물질을 위해 남겨놓은 번호라고 하네요.
이 류를 4단위로 세분화한 것이 ‘호’입니다. 호는 동일 류 내의 품목의 종류, 가공도 별로 분류한 것입니다. 소호는 호를 용도, 기능 등으로 세분류한 것으로 소호까지는 국제공통을 사용해요. 소호 다음에는 세세분류 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관세부과 목적상 필요한 것입니다.
구분 | 분류단위 | 명칭 | 분류의 기준 |
대분류 | - | 부(section) | 산업별, 기술제품으로 수평배열 |
중분류 | 2자리 | 류(chapter) | 상품의 군별 구분 |
소분류 | 4자리 | 호(heading) | 동일류 내의 품목의 종류별, 가공도별 |
세분류 | 6자리 | 소호(sub-heading) | 동일호 내의 품목의 용도, 기능 |
세세분류 | 10자리 | - | 소호품목을 통계, 관세부과 목적상필요 |
<HS코드의 분류구조>
여기서 앞의 두 자리인 21은 류에 해당하고, 호는 2101, 소호는 2101.11이 됩니다. 이 6자리까지가 국제공통이고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HSK는 세세분류인 뒷 네자리까지를 포함한 2101.11-1000이 되는 것이죠.
그러면 퀴즈를 풀어봅시다! 다음의 HS코드에 대해 맞는 설명은 무엇일까요?
HS 8703.23-1010 |
① 은아 : 이 물품은 제87류에 해당하는구나.
② 경은 : 이 물품의 호는 1010이야.
③ 지아 : 여러 기능이 섞여있는 물품에는 각 기능에 해당하는 코드들이 부여돼.
④ 하나 : 이 분류법의 류를 보면 물품의 용도와 기능을 알 수 있어.
정답은? 바로 1번이죠. 맨 앞의 두 자리가 류를 지칭하는 것이니까요. 자 이제 무역의 대상인 수많은 물품들이 HS코드에 의해 어떻게 분류되는지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다음에는 또 다른 콘텐츠로 C-STAR와 만나요!
참고할 포스트 품목분류를 알면 해외직구 어렵지 않아요! http://ecustoms.tistory.com/3899 품목분류, HS코드에 대해 알아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