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네이버 블로그로 이전했습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782

[상식밖의 상품학] "팝콘의 유래"

$
0
0

 

극장이나 놀이공원에서 즐겨 먹는 팝콘은 건강에 좋고 칼로리가 낮아 인기있는 간식거리입니다. 팝콘(pop-corn)이라는 말은 “터지는-파열하는 옥수수”란 뜻으로 팝콘 안의 수분이 급격히 팽창해서 터지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여기서 콘(corn)은 원래부터 옥수수를 의미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에 보관되어져 있던 “콘”과 성경에 기술되어져 있는 “콘”의 의미는 다른데요. 성경에 쓰여진 “콘”은 보리로 추정됩니다.

이런 상이한 해석은 특정지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 왔던 곡식인 “콘”의 의미가 변화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콘”이라는 단어가 밀을 의미하며 스코트랜드와 아일랜드에서는 귀리를 뜻하게 되었죠. 하지만 처음으로 미국인들이 옥수수라는 품종을 총칭하여 “콘”이라 부르게 되었고 지금까지 옥수수를 통상 “콘”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약 400년 전인 1630년 아메리카 신대륙에 첫 발을 내디딘 메이플라워호의 영국인들은 메사추세츠주의 플리머스에서 추수감사절에 처음으로 팝콘의 맛을 접했습니다. 그 해 할로윈데이에 원주민이었던 마사소이드족의 추장인 콰데쿠이나가 축제의 선물로 튀긴 옥수수를 사슴 가죽 가방에 담아 왔습니다. 이듬해 봄에 마사소이드족으로 부터 영국 이주민들은 옥수수 재배 방법을 배우게 되었고 이것이 팝콘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팝콘의 주원료인 팝콘용 옥수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1988년부터 수입산 팝콘용 옥수수가  최초수입된 이후 낮은 가격과 뛰어난 품질 때문에 수입산 팝콘용 옥수수를 소비자들이 선호해 수입량이 점차 증가했습니다. 최근 들어 국산 옥수수 경쟁력 제고와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진흥청은 국산 팝콘용 옥수수를 개발하여 자급률을 단계적으로 올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팝콘은 튀긴팝콘(완제품)을 말하지만 품목분류에서는 팝콘의 원료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관세율표상 팝콘은 팝콘용 옥수수, 조제처리한 팝콘용 옥수수 및 튀긴팝콘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낟알 상태의 팝콘용 옥수수는 관세율표상 제1005호 “곡물”에 특게되어 있습니다.

낟알 상태의 팝콘용 옥수수에 정제소금, 버터향 등을 첨가해 조제처리하면 제2008호 “그 밖의 방법으로 조제하거나 보존처리한 과실·견과류와 그 밖의 식용에 적합한 식물의 부분(설탕이나 그 밖의 감미료나 주정을 첨가했는지에 상관없으며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에 분류됩니다.

튀긴팝콘은 제1904호“곡물이나 곡물 가공품을 팽창시키거나 볶아서 얻은 조제 식료품[예: 콘 플레이크(corn flake)]과 낟알 모양이나 플레이크(flake) 모양인 곡물(옥수수는 제외한다)과 그 밖의 가공한 곡물(고운 가루·부순 알곡·거친 가루는 제외하고 사전조리나 그 밖의 방법으로 조제한 것으로서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로 분류됩니다.

정보제공: 주간관세무역정보(발행: 한국관세무역개발원, 글: 관세법인부일 관세사 박현수)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782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