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승마는 무술의 일종으로, 말 위에서 창이나 검을 쓰는 등의 기술을 익히는 데 쓰였다고 합니다. 근대에 이르러 스포츠로 발전해 ‘제5회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공식종목으로 채택됐지요.
박진감 넘치는 승마경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훌륭한 말을 잘 관리하는 것인데, 특히 경주마는 단시간에 최대속도를 내기 때문에 말의 생명력과 연관이 많은 발굽관리가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말이 생활하는 마장 바닥을 항상 청결하게 하고, 환경에 따라 톱밥, 짚, 왕겨 등을 깔아줍니다. 말발굽은 V자형으로 생겨서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항상 깨끗이 해주고,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승마 후 말발굽을 씻은 다음 제유를 발라줍니다. 편자를 박아 거친 바닥으로부터 발굽을 보호해주기도 하지요.
이런 화장품 아닙니다ㅎㅎ 김태공이(가) 낚시을(를) 성공하였다!?
이 물품은 처음에 당류, 구리염, 아세트산, 물 등을 혼합해 주제한 흑갈색 점조액상을 소매 포장한 물품으로 “동물성․식물성 지방과 기름 및 이들의 분획물(끓이거나 산화․탈수․황화․취입하거나 진공상태나 불활성 가스에서 가열중합하거나 그 밖의 화학적 변성을 한 것으로 한정하며, 제1516호의 물품은 제외한다.),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서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동물성․식물성 지방이나 기름 또는 이 류의 다른 지방이나 기름의 분획물의 혼합물이나 조제품”을 분류하는 제1518.00-9090호로 신고됐습니다.
관세율표 제3307호에는 “면도용 제품류․인체용 탈취제․목욕용 조제품․탈모제와 그 밖의 조제향료․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이나 화장용품”을 분류합니다. 이와 관련해 HS해설서 (V)-(6)에 동물 화장용 제품(예 : 견용의 샴푸․새의 깃털 개량 세척제)을 분류하도록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 품은 말발굽 관리에 사용하는 물품이므로 동물화장용 제품을 분류하는 제3307.90-9000호로 정정 분류했습니다.
품명 (적출국) | 신고세번 (세율) | 정정세번 (세율) |
Animal toilet preparation (벨기에) | 제1518.00-9090호(FEU* 1.3%) | 제3307.90-9000호(기본 5%) |
*한·EU FTA협정세율
제공 : 관세무역정보 통권1683호(세번 정정 후 통관물품 해설-인천세관 심사국 분석관 이희영 관세행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