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여름방학기간동안 해외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여행의 묘미 중 하나는 바로바로 쇼핑이지요?~♬ 이 때 바로 숙지하시고 계셔야할 상식은 여행자 휴대품 관세에 대한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여러분들이 해외에서 구입하는 것들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미리미리 숙지하여 몰라서 피해보는 일이 없도록 한번 살펴볼까요???
※어떤 경우에 관세를 납부해야할까요?
- 여행자 휴대품의 경우 해외에서 구입한 물품들의 가격이 600$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 600$ 금액 안에는 주류의 경우 1병(1리터, 400불 이하), 향수의 경우 600ml, 담배의 경우 200개피 까지만 포함이 가능합니다.
※면세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자진신고를 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겠죠? 자진신고를 한 입국자에게는 30% 감면이 적용되며, 이때 감면 한도는 15만원입니다. 또한 신속통관, 신고가격 인정, 세금사후납부 등 각종편의를 제공한답니다. 그러나 미신고 후 적발 시 40%의 가산세를 더해서 납부하셔야합니다. 추가로 돈을 더 내시는 것 보다는 자발적으로 신고를 하시는 것이 바람직한 국민의 자세이겠지요!?
※여행자휴대품이라고 하면 그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반입금지물품은 없나요?
- 음란물, 화폐· 채권 기타 유가증권의 위조품·변조품 또는 모조품 등은 반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총기, 마약, 멸종위기의 야생동식물보호에 관한 국제협약(CITES)에서 규정한 동식물 및 이들의 제품 등 반출입제한물품은 통관에 필요제반요건을 구비해야지만 통관이 가능하다는 점 꼭 꼭 알아둡시다.
※여행자휴대품에 면세점에서 구입한 물품들도 해당이 되나요?
- 네, 해당됩니다. 국내면세점이라 하더라도 출국장 밖의 땅은 엄연히 우리나라 땅도 외국의 땅 도 아닌 구역이라 볼 수 있으므로 국내면세점과 해외면세점에서 구입한 물품들도 모두 해당한답니다. 특히, 국내면세점에서 산 물품은 해당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 특히 조심하여야하는 부분입니다. ^_^
※내야할 관세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없을까요?
- 당연히 있습니다~. 관세청에서는 <휴대품예상세액 조회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답니다. 또한 관세청 모바일 페이지에서도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http://www.customs.go.kr/kcshome/common/popup/ItemTaxCalculationPopup.do
▲위의 링크를 타고 들어오시면 본인이 내야하는 예상세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여행자 휴대품 예상 세액 조회시스템에 들어가시게 되면 먼저 면세범위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 후 , 구입물품을 선택하고 구입에 사용한 통화를 선택하시면 금액을 기입하는 공란이 나옵니다.
공란에 구입하신 금액을 입력 후 입력한 예상세액(조회)추가를 누르시면 조회를 바로 하실 수도 있고,
다른 물품을 추가하실 수도 있습니다. 참 쉽고 유용한 프로그램 이죠 ?
과세대상이 많은 경우 그리고 궁금한 사항은 관세청 콜센터 125번에 연락하시면 답을 얻으실 수 있답니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고를 하나요?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① 항공기안에서 승무원들이 세관신고서를 배포합니다. 같은 가족의 경우 1장만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②간단한 입국신고를 마칩니다.
③금속탐지기와 X-RAY투시기를 통해 위반 물품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④도착한 항공기편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에서 짐을 찾습니다.
⑤면세통로와 세관검사통로 중 해당하는 통로로 갑니다.
면세범위를 초과한 물품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세관검사통로를 통해 검사를 받으시고 관세를 납부하거나 사후납부를 약속하고 출국장으로 나가시면 됩니다. 또한 해당하지 않는 분들은 세관신고서 작성하신 것을 직원에게 제출 후 출국장으로 나가시면 됩니다.
즐겁게 다녀온 여행의 끝에 기분이 나빠지는 일이 없도록 미리미리 숙지하고, 또 숙지하신 분들은 양심적 신고로 납세의 의무를 다하고 더 밝은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