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평가분류원에서는 미국, EU 등 거대 경제권과의 FTA 확대에 따른 자동차 부품 생산 중소기업의 품목분류(HS*)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자동차 HS 가이드」시스템을 구축하고 ‘13.12.20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갑니다.
* HS(Harmonized System) : 세계관세기구(WCO)의 국제통일상품분류 체계(국제협약)로 수출입 상품에 대하여 체계적인 번호를 부여하여 무역 등에 활용
▲「자동차 HS 가이드」시스템 메인 화면
우리나라 수출물품이 상대국의 FTA 협정세율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수출물품에 대한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FTA 원산지 결정기준은 품목분류(HS번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부품 생산단계에서부터 정확한 품목분류가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중소 제조업체는(완성차 제조업체나 1차 협력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는 2차 이하 협력업체) 품목분류 관련 전담인력의 채용이나 컨설팅 비용에 대한 부담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동차 HS 가이드」시스템 내부 화면
이에, 관세평가분류원에서는품목분류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자동차 부품의 품목분류를 확인할 수 있는「자동차 HS 가이드」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약 5천여건의 방대한 자동차 부품 품목분류 사례를 물품사진, 용도, 협정세율 등의 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세계 HS 정보시스템”안에 탑재되어 비슷한 물품에 대한 해외 분류사례 검색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관세평가분류원은 앞으로도「자동차 HS 가이드」가 품목분류 업무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자료를 업데이트 하고 사용자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입니다.
※「자동차 HS 가이드」는 해외 관세율과 품목분류 사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세계 HS 정보시스템” - “산업별 가이드” 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찾기 : 포털 사이트에서 “세계 HS 정보시스템” 검색 또는 http://www.customs.go.kr/kcshome/wtm_index.po)
![저작자 표시](http://i1.daumcdn.net/cfs.tistory/v/0/static/admin/editor/ccl_black01.png)
![비영리](http://i1.daumcdn.net/cfs.tistory/v/0/static/admin/editor/ccl_black02.png)
![변경 금지](http://i1.daumcdn.net/cfs.tistory/v/0/static/admin/editor/ccl_black03.png)
'소식의문 > 신상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부품의 품목분류(HS)는 여기서 알아보세요! (0) | 14:24:12 |
---|---|
관세청 ‘제1회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0) | 2013/12/18 |
내 가방엔 PASS-PORT, 휴대폰엔 PORT-PASS (0) | 2013/12/18 |
청렴의식 고취 청렴포스터 전시회 개최, 구경오세요! (0) | 2013/12/18 |
관세청, 제1회「앱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수상자 발표 (0) | 2013/12/16 |
바르기만 하면 되나요? 미국산 크림. 기능 식품 밀수입 적발 (0) | 201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