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하다 가끔 만나게 되는 컨테이너들. 컨테이너를 실은 차량이 그 큰 덩치로 빠르게 달리는 모습을 볼 때면 위협스러워 피하거나, 더 속도를 높여 지나쳐버리기도 했을 겁니다. 규격화된 컨테이너가 있기에 대량의 물류 운송이 가능하게 되었고, 수출이 국가재정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 해상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볼까요?
컨테이너는 1920년대 미국의 철도화물 운송에서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해상운송은 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군이 군수물자를 수송에 처음으로 컨테이너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국제운송의 컨테이너화는 각양각색의 화물을 컨테이너라는 국제적으로 규격화된 용기를 통하여 육상과 해상의 일관수송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데 커다란 의의가 있습니다.
컨테이너로 수송하는 방식은 운송의 신속성, 안전성, 경제성과 같은 장점이 많습니다. 덕분에 포장, 수송, 하역 및 보관 등 운송 전 과정에서 혁신적인 수송 도구로 각광받아 현재는 국제 화물 수송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해상운송 컨테이너 표준규격 [container standards type, 標準規格]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서 제정한 국제 유통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박스의 치수, 중량, 모양, 표시방법, 시험방법, corner fitting 등의 추천 표준규격(standards type)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컨테이너 규격을 말할 때, 측정 단위는 피트(feet)로 하여 규격을 구분합니다. (예, 20ft, 40ft 컨테이너)
컨테이너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 컨테이너
일반 화물의 운반에 쓰는 전형적인 컨테이너로, 옆면은 수직하중에 강한 요철 철판으로 되어습니다.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라고도 합니다.
2. 지붕 없는 컨테이너
윗부분이 열려있어 기계나 철강 등을 싣는 데 쓰입니다. 오픈탑 컨테이너(opentop container)로도 불립니다.
3. 사주(四柱) 컨테이너
기둥만 남기고 옆 벽과 위가 열린 컨테이너로 트럭이나 중장비, 목재류 운반에 요긴합니다. 플랫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라는 이름도 있습니다.
4. 냉동 컨테이너
리퍼 컨테이너(reefer container)라고도 하는 이 컨테이너는 단열재로 보강되어 냉동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주로 과일이나 냉동식품 등을 운반합니다.
5. 탱크 컨테이너
일반 탱크를 갖고 있어 주로 액체 화물을 실어나릅니다.
컨테이너 개방 문쪽에 컨테이너 식별 표시가 있습니다. 역시 이유 없이 적혀있는 내용은 없네요.
우리와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우리가 쓰는 것 중 수입된 물건들 대부분은 컨테이너에 담겨왔을 겁니다. 생각해보면 신기하지 않습니까?
기사 제공 : 대구본부세관